기사 메일전송
문화재청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 등 7건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예고
  • 김연수 기자
  • 등록 2017-01-02 13:31:37
기사수정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 등 7건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金允謙 筆 嶺南紀行畵帖)’은 진재(眞宰) 김윤겸(1711~1775년)이 합천, 거창, 함양, 산청과 부산(동래) 등 영남지역의 명승지를 유람하고 그린 14장의 화첩이다.


이 작품은 김윤겸이 1770년(영조 46) 소촌 찰방에 임용될 당시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18세기 후반의 대표적인 경상도 지역 진경산수화이다. 이 작품은 조선 후기 선비들의 여행과 시문서화(詩文書畵) 예술의 창작 상황을 잘 보여주며, 작품 자체로도 과감한 생략이 가미된 단순한 표현, 옅은 청색으로 표현한 해맑은 선염(渲染) 등 김윤겸의 독자적인 회화 세계를 잘 드러낸 그의 대표작이다.


‘청자 상감퇴화초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및 승반(靑磁 象嵌堆花草花文 瓢形 注子 및 承盤)’은 퇴화(堆花) 기법으로 초화문(草花文)을 베푼 주전자와 승반(밑받침 접시)이다. 


주전자와 승반이 한 묶음으로 구성돼 있어 더욱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완전한 조합과 구성, 당당하면서도 안정감 있는 몸체, 자유로운 필치로 정성스럽게 그린 생동감 넘치는 문양 등에서 세련된 퇴화 기법의 정수를 유감없이 보여주는 우수한 작품이다. 

  

‘청자 죽순모양 주전자(靑磁 竹筍形 注子)’는 지정된 다른 상형청자(象形靑磁)에서 볼 수 없는 죽순(竹筍)을 형상화한 상형청자로, 여러 식물 모양 청자 가운데서도 조형과 장식, 그리고 유색(釉色)이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 최상급의 청자로 평가된다. 특히, 기형의 독창성과 더불어 우아한 조형미, 그리고 빙렬(氷裂)이 거의 없는 완벽한 표면, 은은한 광택의 유색 등 질적인 완성도 면에서 최상급 상형청자의 본보기라고 할 만하다. 

 

‘청자 투각연당초문 붓꽂이(靑磁 透刻蓮唐草文 筆架)’는 상형과 투각(透刻)의 두 가지 기법이 어우러져 밀도 있게 표현됐으며 특히, 푸른빛의 유색이 유달리 뛰어나다. 고려청자 붓꽂이는 많은 예가 남아 있지는 않지만, 묵호‧연적 등 문방구들과 더불어 고급품이 많은데 이 붓꽂이는 사각형의 몸체와 용머리 장식이 인상적이다. 이 붓꽂이는 희소성 외에도 아름다운 조형과 유색, 투각·음각·양각·철화 등의 다양한 장식기법이 완벽하게 조화를 이룬 최상급의 청자다. 


‘경주 불국사 삼장보살도(慶州 佛國寺 三藏菩薩圖)’는 1739년 밀기(密機), 채원(彩元), 서징(瑞澄) 등 경북지역에서 활동하던 화승들이 경주 거동사(巨洞寺) 오주암(五周庵)에서 제작해 불영사에 봉안했다는 분명한 화기를 남기고 있어 18세기 전반기 삼장보살도 도상 및 화풍연구에 중요한 자료다. 각 회상(會上, 석가모니가 설법하던 모임)을 나란히 배열한 안정된 화면 구성과 격조 있는 인물 묘사, 세련되고 유려한 필치, 밝고 온화한 색감을 통해 높은 품격을 보여준다. 특히, 지물을 든 천장보살과 지장보살 아래로 협시(夾侍, 부처를 좌우에서 모시는 두 보살)가 보살이 아닌 무장형(武將形)으로 등장하고 있는데 이는 이 삼장보살도가 팔공산 지역과 구미, 상주 일원의 경북 중북부 지역의 결합된 화풍을 담고 있다는 사실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곡성 도림사 아미타여래설법도(谷城 道林寺 阿彌陀如來說法圖)’는 도림사 보광전의 후불화(後佛畵)로 봉안된 것으로 1730년 철매(哲梅)의 증명 아래 수화원(首畵員) 승려인 채인(彩仁), 진행(眞行), 즉심(卽心), 각천(覺天), 책활(策活) 등이 제작한 것이다. 이 작품은 아미타여래와 관음·대세지를 비롯한 팔대보살, 그리고 권속들이 엄격한 좌우대칭을 이루며 짜임새 있는 화면구성을 갖추었고, 정교하고 치밀하면서도 유려한 필선, 안정된 색감과 문양을 통하여 우수한 화격을 보여준다. 18세기 전반기 화풍과 화사(畫師)간의 교류를 통한 화맥(畵脈)의 전승관계를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돼 가치가 있다.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蒙山和尙法語略錄(諺解)]’는 중국 원나라의 고승인 몽산화상(蒙山和尙) 덕이(德異, 1231~?)의 법어를 약록(略錄, 간략하게 줄여 적은 서책)한 것을 조선 초기의 승려 신미(信眉)가 토를 달고 우리말로 번역한 책이다. 간행 당시 인출한 초인본(初印本)으로 원문이 손상되지 않고 전 장을 갖추고 있다. 훈민정음이 반포되고 나서 머지않은 시기에 간행된 도서라는 점에서 국어학 연구와 조선전기 출판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서 가치가 크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번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 예고한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 등 7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